기본강의필기

장중 HTS 매수, 매도 주문 유형

SPINOZA 2012. 2. 2. 00:54
반응형
주문유형

장 중에는 보통은 지정가 주문하지만, 그 밖에 여러 가지.
- 지정가주문은 종목에 대해 가격과 수량을 지정. 매매의 기본. 주문낸 가격(이나 그보다 유리한 값)에 매도 혹은 매수 체결.

아래는 수량을 지정하고, 체결가격은 주문별로 다르다.
- 시장가주문은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수량만 지정, 지금 형성된 값에 주문 수량만큼 다 매매하라는 주문. 장중이라면 체결가가 여럿일 수 있음.
- 조건부지정가: 장중에는 지정가격으로 주문되며, 장마감이 되면(14시50분~15시) 위의 시장가주문으로 자동으로 바뀐다.
   대신증권 ) "조건부 지정가는 두 번의 기회를 제공하는 셈이지만, 꼭 종가에 체결된다고 볼 수는 없다."
- 최유리지정가: 가장 낮은 매도호가에 사고, 가장 높은 매수호가에 판다.
- 최우선지정가: 지금 나온 가장 높은 매수호가에 자기 매수물량을 얹고, 지금 나온 가장 낮은 매도호가에 자기 매도물량을 얹는다.

그 외 주문조건.
조건을 주지 많으면 미체결되거나 체결되고 남은 수량은 그대로 주문이 남아 지정한 가격조건에 체결되기를 기다린다.
- IOC주문.. 가격과 수량을 지정. 주문 시점에서 체결가능한 만큼 체결하고 나머지는 자동 취소.
- FOK주문..가격과 수량을 지정. 주문 시점에서 전량 체결불가능하면 전량 취소.


아래는 검색 결과

키움증컴


현대증권


ps. 동시호가는 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