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문 정리

애플, 아이폰5에서 AP말고 다른 부품은 삼성제 안 써. 아이패드 미니에서도./한국경제신문

반응형

삼성은 차이니즈 월이 동작하고 있음을 밝혔고, 사업부 분리, 법인 분리, 끊임없이 애플과 접촉하며 납품 관계를 유지하려 했지만, 애플이 이렇게 할 것은 재작년부터 예상된 일이었다. 가장 좋은 조건으로 납품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삼성을 깨기 위해 경쟁사를 지원하는 행위를 계속하더니 되겠다 싶은 것부터 삼성그룹 계열사 부품을 잘라내고 있다. AP도 TSMC나 GF가 수율을 맞추게 되면 그럴 거라 봐야 할 것 같네.



- 디스플레이, 모바일디램, 낸드플래시, 배터리 모두 삼성계열사것을 주문하지 않았다고.


- 모바일AP는 TSMC가 제대로 못 만들어서 아직은 삼성전자에게 주문.


- 아이패드 미니의 디스플레이 패널도 삼성디스플레이에 주문하지 않았다고.


"완전히 뺐기" 때문에 이것은 분산차원이 아니라 보복차원으로 봐도 되겠다.


작년 애플의 삼전부품 주문은 10조원어치 정도. 삼성으로서는 갤럭시 시리즈 매출을 늘려 자체 소화해야 할 전망.



ps. 낸드플래시쪽은, 삼성 자체 브랜드 낸드플래시 메모리(SD, microSD 메모리카드)가 요즘 많이 나오는 것도 자체소화하기 위한 것일까? 일단 성능과 신뢰성은 제일 낫고 그래서 가격도 제일 좋다. 연말까지 SSD 가격이 더 떨어질 거란 전망도 이것과 상관이 있을까? SSD용 메모리와 스마트폰 내부메모리용 메모리가 같은 지는 모르겠지만..


이 결과, 모바일디램 시장 가격이 내려가게 되면 하이닉스의 매출도 영향을 받을까. 하이닉스도 SSD를 출하하고 있기는 하다만..  삼전에 주문하지 않은 만큼 하이닉스에게 주문해 매출이 늘어난다면 좋겠지만.


관련기사


- SK하이닉스, 난드플래시 모바일용 제품 주문확대기대, 낸드플래시 거래 가격반등기대에 상승. 전일 미국시장.

- 갤럭시S3, 판매 호조기사. 애플에 납품하던 부품량만큼을 직접 팔아야 한다. 아이폰5 이후에도 그래야 할 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