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초 박문환씨 방송에서.
2015.1.6
https://youtu.be/LQfofnael8I?list=PL2nEjN2sGg0K328WHf2iakRpSj6C4r-2B
지금 다시 보고 적어보는 것.
1.
"투자할 종목을 고를 때,
한 회사의 납품처 의존도가 한 회사에 20%를 넘으면 위험해지고 50%를 넘으면 안 되고, 100%는 빨리 버리라고 했다.
그런데, 이미 미국+일본 의존도를 넘게 중국에 의존한다.
즉, 이제 중국 내부의 여러 가지 문제에 한국 경제가 바로 영향을 받는다."
2.
만약 중국시장 자체가 이머징마켓 자본시장에 들어오고
우리 나라가 선진지수 자본시장으로 도망가지 않는다면
국제자본은 이머징마켓 투자를 재편성할 테고
지금 우리 나라에서 나갈 돈도 1~3년에 걸쳐 10%정도는 뺄 것이라는 말을 함.
다음은 이달 초 방송
https://youtu.be/QwgqHgHnpxE?list=PL2nEjN2sGg0K328WHf2iakRpSj6C4r-2B
건설업은 고정비가 많이 드는 업종. 현장 인력은 해고해도 일이 있으나 없으나 고정인력을 보유하기 때문.
저가수주를 비난하는데, 그럼 수주하지 않고 놀다가 해고하고 청산하는 게 맞냐? 불황이 너무 오래 가고 있는 것이다.
조선업은 분식회계 비난을 받는데, 조선업은 업종 자체가 비슷한 방식으로 회계하고 그건 분식회계가 아니다.
일반적인 회계원칙은 이익은 천천히, 손실은 빨리다. CEO가 보기에 손실이 확정됐다 봐서 이번에 그리 처리한 것이다.
둘 다 업황 문제지 그 회사 사장의 문제가 아니다. 고의가 있다면 찾아낼 일이지만 지금 봐선 아니다.
8.13일
https://youtu.be/AKZp4wlk8S4?list=PL2nEjN2sGg0K328WHf2iakRpSj6C4r-2B
오바마대통령에게 TPP 신속처리 권한을 주는 표결에서 상원은 부결. 특히 민주당이 부결.
얼마 전, 이란 특별법안 관련해도 그랬다. 왜?
오바마는 사우디 국왕을 초청했는데 거절됐다. 사우디는 미국의 (러시아통제위한) 저유가 정책 반기.
지금 미국 대통령에 불만가진 유태인의 힘?
이후,
헬스케어, 제약바이오 업종 약세.
유가 반등 -> 세계 채권시장 급락. 은행, 보험주 강세.
관련기사.
대중국 투자, 일본 제치고 '세계 1위' 부상 - YTN, 2015.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