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임드 link/한상춘

미국 중앙은행, 반세기동안 사용된 리보금리를 대신할 기준금리 발표 영국 은행들이 리보금리를 조작한 사건이 있었습니다.그 밖에도 이유가 있었던지 이번에 이런 소식이 올라왔네요.한상춘씨는 강달러 요인이 되지 않을까 말하고 있다고 합니다.지금 트럼프때문에 원화강세가 강한데 그걸 완충해줄 수 있으면 좋겠지만..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국제금융시장 50년만 최대변화…‘리보’가 ‘SOFR’로 대체되면 강달러 도래하나? 2018.3.29http://news.wowtv.co.kr/NewsCenter/News/Read?menuSeq=459&subMenu=latest&wowcode=&Class=&articleId=A201803290139-리보, 기준금리 기능 약화로 문제 누출 -영국 감독청, 21년까지 리보금리 폐지 -17년 4월, 영란은행 ‘SONIA’ 고려안 발표 -SONIA는 리.. 더보기
한상춘: 중국경제 트리플 강세. 아마존보다 알리바바를 사라 2018.1.15 방송신문기사 링크.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11815475 올해 중국경제 성장률 발표보다 실제 성장률이 더 높았을 것이라는 평가 기사가 국내외에서 많이 나온다. 거기서 시작. 중국 국가통계의 특성.과거 중국중앙에서 성장드라이브를 걸 때, 중국 지방정부는 중앙 입맛에 맞게 높은 수치를 보고했다.요즘 중국중앵에서 질적성장을 모토로 하니, 중국 지방정부는 중앙 입맛에 맞게 마사지한 수치를 보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어쨌든 중국 경제는 안정적으로 성장 중이고, 위안화, 주가, 경기가 모두 좋은 트리플 강세는 일시적인 것이 아님. 중국은 국가주도의 산업구조 개편과 함께, AAIB를 활용해 외국에서 성장동력을 찾으며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신흥국을 대상으로 .. 더보기
지금 원화가치 상승의 문제점은, 달러가치가 오르는 와중에 원화는 더 오른다는 데 있다고 한상춘씨 방송에 나온 이야기. 지금 달러인덱스가 오르고 있음. 즉, 주요국 통화대비 달러값이 올랐음. 미국 금리(달러값)도 올랐기도 하고/그런데 원화가치는 더 올랐음. 즉 원화가치는 주요국 통화대비 더 더 올라버린 것. 이런 원화가치의 상승은 달러화대비해서는 어느 정도 설명이 될 지 몰라도엔, 위안 등 다른 주요 통화하고는 완전히 괴리됨. 이것은 지금의 재정환율 산식으로는 원-엔 환율, 원-위안 환율이 한국-일본, 한국-중국의 무역 상황을 전혀 반영하지 않기 때문.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지 않으면, 한국 수출이 크게 망가질 수 있음.) 더보기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가계부채와 원화 강세…부동산과 증시 하락으로 이어지나 환율에 대해, 대기업에 대해, 부동산에 대해문재인과 청와대는 완전히 바보같은 생각을 하는 게 큰 문제다.바보같이 굴건 등신같이 굴건 결과만 좋으면 되는 게 돈문제겠지만, 뒷걸음질하는 코끼리를 보는 것 만큼이나 지금 정부는 아슬아슬하다.부동산은 잡고 말겠다느니, 대기업은 쓸모없다느니, 원화가 강해야 좋다느니. 과거시점에 머물러 있는 정치가와 독선에 가득찬 얼치기 시민운동가와 평균수준이 낮은 집단지성 운영이 빚어낸 정책 폐단일까.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WlAg7hbUzp42017년 11월 22일자. 지금 우리 나라의 환율과 증시와 외환보유고를 책임지고 있는 회사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다.화학, 철강 다른 업종도 잘 해나가고 있지만, 반도체업종의 이 두 회사가 전망이.. 더보기
신흥국 대거 이탈자금 지금 어디로 - 한상춘 / 9월 FOMC회의 등 방송 메모 한상춘씨 방송 정리. 신흥국에서 돈이 빠진다는데 그럼 그 돈은 미국가서 미국증시를 부양하나? 아닌데? 이런 이야기.https://www.youtube.com/watch?v=a1IzkENxhb8작년하반기 이후 신흥국에서 13개월간 1조달러 빠짐. 금융위기 직후의 2배.금융위기 후 6년간 2조달러가 신흥국으로 흘러갔는데 그 반이 빠진 것임. 도드-프랭크법과 볼커 룰의 경과기간이 7월로 끝났음.그래서 미국계 금융기관들은 이전보다 레버리지를 적게 써야 하므로 마진콜(?)을 그동안 신흥국에서 팔아 뺀 돈으로 채움.그리고 전세계적인 경기불확실은 대기자금을 늘림. 미국 FED 인포데믹 리스크 / 8.30https://www.youtube.com/watch?v=NzlLql6-7sE9월 FOMC회의는 9월 16-17일".. 더보기
국채시장 플래시크래시(fALSH cRASH) - 한상춘 한상춘씨 오늘 한경방송 앨런 그린스펀, 연일 플래시 크래시 경고.채권값 대폭락 경고. 선진국, 특히 미국의 금융사 미국채권 과다보유지금 너무 많이 갖고 안 팔고 버티고 있음.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채권금리가 떨어지고미국 금융사들은 가지고 있는 채권을 되도록 오래 갖거 버티는 대신신흥국 채권 보유고를 줄여 급전을 조달할 것.그것이 미국 기준에서는 작아도 예를 들어 한국시장규모에서 매도는 클 것이라 한국시장도 플래시크래시영향을 받음.한국채권을 팔면 환율과 증시가 움직일 것.중국같이 크게 오른 나라에서 외자가 빠지는 것도 수익실현 및 리스크관리차원으로도 이해가능. 각국의 통화완화정책은 그 자체로서 위험은 크지 않음, 조심스럽게 하고 있음.미국도 강달러부담으로 금리인상은 살금살금할 것. 여튼 당분간은 채권에.. 더보기
위안화 평가절하에 대한 한상춘씨 평 - 중국에 불안감가지지 마라. 세계경제의 난리는 아니다. - 하지만 우리 경제에는 타고 넘어야 할 파도다. 즉, 0. 중국 정부의 조정치는 경제학자들이 산출한 위안화 가치에 근접해가고 있음. 크게 더 절하되진 않을 듯.1. 세계는 걱정하지 않을 것임. 음모론에 휘둘리지 말 것. 2. 위안화의 국제화, 기축통화화를 위해 중국이 위안화가치를 시장평가가치에 가깝게 맞춰가는 건 예상된 추세인데, 조치의 시기와 의외성은 미국을 방해하는 한 수였다는 평. 3. 우리에게는 과제가 됨. 원화 절하를 냉큼 하기에는 경상수지 흑자, 불황형 흑자라지만 이걸로 들어오는 돈이 큼. 아울러 미국은 자기네 국내경제정책으로 금리를 올리려 하지만 달러강세로 무역수지적자가 커지는 건 싫어하는 (욕심쟁이라, 만약 중국시장 성장세가 낮춰지.. 더보기
한상춘씨의 칼럼 한국경제TV를 가끔 새벽에 보면 나와서 세계경제평론을 해주는 한상춘씨의 기고문입니다.체크해두고 매주 읽어볼 만 합니다. 지난 주 주제는 "빚"입니다.미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가 빚을 늘리고 있습니다. 정부도 ‘빚더미’ 짓눌린 세계경제세계의 빚 23경 원 돌파…전통적 자산 관리 개념 무너져2015-3-18 전에도 링크한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기사 목록 그리고 한국경제TV에 새벽에 나와 하는 이야기 모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ED%95%9C%EC%83%81%EC%B6%98 더보기
미국 양적완화 종료에 대한 한상춘씨의 한경매거진 기사를 읽고 시의적절한 글이어서 읽어가며 조금 정리해본다. [ 기사 링크 ] 그림 출처는 톰슨로이터/한국경제신문.한국 외환위기 이후에 미국 금리는 올랐고 골디락스 이후 또 금리는 오르고 있었다.그리고 서브프라임 모기지 후 금리는 제로로. 양적완화 가 종료되었다. 돈푸는 것을 매달 100억달러씩 줄인 것이 이제 +- 0 이 된 것이다.즉, 가속도가 줄이는 쪽으로 간 것이고, 물량풀기는 이제 종료된 것. 이제 곧 긴축으로 갈 것이냐, 실물경기가 회복되는 지 보고 긴축을 갈 것이냐인데한상춘씨는 후자라고 본다. 주가 등 금융시장, 자산가격의 세계는 항상 실물경기의 움직임을 선행한다. 지금 시중에 엄청난 돈이 풀린 상태이므로어떤 효과를 낼 지를 보고 가야 한다는 것. 1930년대의 에클스 실수,2006년의 일본 양적완화 조기.. 더보기
"한국은행 돈 좀 풀라"고 한다 오늘 TV 주제가 세계적인 부동산 시장 풀림 해설하면서 우리 나라 이야기를 덧붙이며 한 얘기. 더보기
한상춘의 국제경제읽기 연재 - 한국경제신문 거시적인 문제를 읽기 좋은 연재입니다.한상춘씨는 요즘 한국경제TV에 출연해서 주요 이슈를 해설해주기도 합니다. 한경 홈페이지에서[한상춘의 국제경제읽기] 로 검색하면 목록이 나옵니다. 더보기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달러 단일통화시 외환시장 전망 8월 7일 6시 한국경제TV 금본위제 논의 점검- 10년, WB총재 로버트 졸릭 주장- 작년 롬비 공화당 후보 선거공약- 국제 금값 온스당 1280원대로 폭락- 금값 추락과 금본위제 논의 약화 '테라(Terra)' 창설 논의 점검- 벨기에 루벵대 리태어 교수 주장- 유로화 창시자로 이 제안 공감대- 라틴어로 '지구'라는 의미- 기존 방안처럼 이해관계없는 3안 세계단일통화 도입, 각국 반응- 단일통화 도입 필요성 공감- 기존 특정통화로 단일화 부담- 무역 혹은 통상 보호주의 장애- 복수통화바스켓제 현실적 공감 달러 단일통화시 외환시장 전망- 달러 중심 통화질서 강화조김- 제3 브레튼 우즈 체제 도입 전망- 안전통화로 달러 위상 재확보- 완만한 달러강세 지속 전망 각국의 '자국통화 국제화'노력- 중국 '위안.. 더보기
달러인덱스 84 한상춘씨 드물게 어조가 강하다.최근의 엔달러 100엔 돌파는아베노믹스때문에 엔저가 된것이 아니라달러화 강세로 엔화도 밀려내려간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http://info.finance.naver.com/marketindex/worldExchangeDetail.nhn?marketindexCd=FX_USDX 더보기
환율에 대한 한상춘씨 기사 셋 변동폭을 주시하라일본처럼 경제와 무관하게 환율이 오르는 걸 조심하라토빈세가 필요하다 이런 이야기 원화는 위안화에 동조되는 경향이 있다는 말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21026091908011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102123441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21019094304983 오늘의 시장지표http://info.finance.naver.com/marketindex/ 엔화는 80엔대를 넘었다. 즉 약세다.원화는 1097원이다. 강세다. 이 추세대로라면 자칫 연말 1080원은 .. 더보기
한상춘: 외환, 세계경제 시평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더보기
미래에셋 미디어 여러 가지 강의와 이메일 뉴스레터에 링크된 동영상을 볼 수 있는 곳. 7일 넘은 컨텐츠는 회원가입해야 함. 이 경우는 internet explorer 접속해야 할 듯. 그냥 보는 건 firefox라도 상관없음. 한국경제신문에 기고문을 쓰는 한상춘씨(한국은행 출신이라고)가 여기 고정 패널로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해주는데, 몇 년 전에는 출신을 연상하게 하는 논조로 경제현상을 해석해줬지만 요즘은 시장참여자의 시각, 그리고 신문 독자의 시각으로 바뀐 듯. 좋은 뜻으로, 산 위에서 내려온 것 같음. 그리고 예나 지금이나 그런 것과 무관하게 논설은 깊이가 있어서 읽어볼/들어볼 가치가 있음. 작은 단점이 있다면 아직도 현학적인 분위기가 있는 점인데, 그건 경제교양서 좀 본 사람들이라면 듣다/읽다 보면 충분히 알아듣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