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종 정리

"당분간 수출 대형주 위주의 장세" 외국인이 한국 주식 쓸어담는 까닭한국경제 최만수/박종서 2017.03.14기업실적 개선, 주가 저평가, 신정부 경기부양 기대이달 2조6000억 순매수올 상장사 순익 120조 돌파, 한국 증시 PBR 0.9배 불과새 정부, 10조원 추경 가능성중국의 방해에 덜 영향받는 수출 대형주라.. 더보기
국내 상장사 200여곳 내년 상반기 중 부실화 '고위험군' 2년 내 / 부실화 위험 기업은 410곳..15대 그룹 109개 상장사중 25%가 부실 위험 연말과 내년 투자때 주의할 점. 옥석가리기입니다. 국내 상장사 200여곳 내년 상반기 중 부실화 '고위험군'2년 내 부실화 위험 기업은 410곳..15대 그룹 109개 상장사중 25%가 부실 위험매일경제 | 전경운 | 2016.10.12. 코스닥 코스피 종목 중 컨센서스가 잡힌 유망종목은 얼마 안 되는데,그 중에서 저런 종목은 빼거나 리스크를 고려하고 주식을 가져야 한다는 것. 매일경제가 입수한 글로벌 구조조정 컨설팅업체인 알릭스파트너스의 ‘기업 부실화 지수(CDI)’ 분석 보고서알릭스파트너스는 구조조정 전문 글로벌 컨설팅 기업(미국회사인 모양. GM구조조정을 주도했다고)알릭스파트너스의 CDI는 과거 최소 10년 이상의 재무정보와 주가를 자체 개발한 분석모델에 대입해 기업의 부실화 가능성을 예측한 지수C.. 더보기
여름주식? 식품, 편의점, 대형마트 정도껏 더워야지 너무 더우면 놀러 갈 생각도 못 합니다. 아예 여행가면 모를까.. 그런데 하나투어의 뻘짓 - 여행지 사고에 상식 이하로 대응한 것 - 때문에 이 쪽도 올 여름은 어떨 지.. 그래서 이 기사가 눈에 띄네요. 집에서 에어컨틀고 먹고 마시는 것하고 상관있는 주식. 더우니 요리도 귀찮고 매번 주문은 부담되니 편의점.. 이런 이야기. 땀 '뻘뻘' 더위에도 식품·편의점·대형마트는 '방그레'헤럴드경제 | 2016.07.26. 그리고 대형마트는 가족단위 국내여행용 식품과 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 완전히 자리를 잡은 지 오래. 더보기
요즘 제약업종 몇 가지 작년에 엄청 올랐다가 연말부터 재미가 없는 종목이 많은 제약, 바이오업종이지만, (개별기업차원에서 경영을 잘못하면 할 수 없지만,)업종차원에서 고령사회 미래에 반드시 장사될 부류임은 틀림없다.그러나 요즘 전문가들 추천에서는 빠졌으니 주시만. 오늘,LG생명과학.. 제미글로(당뇨병치료제)의 글로벌 성공가능성한미약품, 유한양행, 녹십자.. 매출 1조 트로이카 시대 이런 기사가 있음.황우석 이후 10년이 지나면서부터 제약업체들이 활짝 피었다.황우석사태때 우리 나라는 아직 10년 더 있어야 제약업체가 진짜 실적을 내놓을 거라고들 했는데 그게 사실이 된 셈. 더보기
물류업은 일감몰아주기 제외, 그룹 상속이슈도 더해 관련주 상승 이런 틈새도 있었네. LG상사, 작년 4분기 2400억 적자에도 주가 25% 올라…'일감 몰아주기' 규제 벗어난 물류社 뜬다한경 2016-02-21총수 일가 주요주주지만 지분 30% 이하, 규제 피해 "그룹 일감 늘며 안정성장" 한익스프레스도 상승세 주가 1년 만에 3배로 뛰어 더보기
미국 부자들은 내년 미국 주식시장을 좋게 본다고 그리고 한국 부자도 내년 미국 주식시장을 좋게 본다고. (..) 한국경제TV 보도. 아래 스크린샷. 5년 전에는, 미국경기가 좋아지면 중국수출이 늘고 한국의 대중 대미수출이 늘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못하다. 한국중국일본이 대미수출에 있어 직접 경쟁자면서, 중국이 한국 중간재 의존도를 줄여온 지 몇 년 째다. 그리고 미국 자체가, 유럽의 선진 공업국과 같이, 이제 무인화되는 공장시대를 맞아 딱히 인건비에 의지하지 않는 제조업을 일으키려 하고 있다. 중국조차 그 대열에 들어서려 하는 이상 우리도 뒤쳐져서는 안 된다.그 결과, 한중FTA는 대중 수출에 있어서는 부당한 무역장벽을 줄이는 데 만족해야 할 것 같고, 그 주력은 중국경유 대미수출이 아니라 중국 소비시장 그 자체가 된 것 같아. (안 그래도 재작년부터 .. 더보기
한류 화장품보다 빨리 질 지도 모르는 화장품주 오늘 한국경제신문의 처음이 이렇습니다. 화장품주 레드오션 경고!올들어 질주해온 화장품주를 생각하면, 그리고 요 한 주를 생각하면 어.. 싶은 기사들.울고 싶은데 뺨때린다는 말? 눈치보다 이제 낸다는 말?너도 나도 화장품, 어느새 8000개사…K뷰티 '화장독(毒)' 오르나 2015-08-19 레드오션으로 가는 화장품 매달 190개업체 설립 .. 연내 화장품업체 9천개 돌파 아모레·산성 등 '대박'에 앞다퉈 뛰어들어 "보따리상 수출"이 아주 많았는데, 중국 규제 강화…한국산 이미지 악화 우려도 "차별화된 기술·장기전략 없인 생존 어려워" "산성앨엔에스 주가는 지난 6월 12만4200원까지 치솟았지만 19일 5만4800원으로 급락":분기영업익이 예상 하회. 이제 시장 폭발이 끝나가는 듯, 중국 소비자도 한국산.. 더보기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는 연구인력을 중심으로 중국으로 엑소더스 조짐 과거 IT산업에서 그랬듯이 지금 화장품산업 연구인력을 대거 스카웃해가고 있다고 합니다. 연구인력 대거 중국행 'K뷰티 노하우'가 샌다 中 거액 몸값 제시하며 빼가기화장품업계 엑소더스 조짐까지 서울경제 | 박진용기자 | 2015.08.02. - 전반적인 인력유출 흐름은 중국 로컬 기업이 급성장하기 시작한 지난해부터 눈에 띄게 늘었음- 중국시장 자체는 이미 중국 로컬업체가 성장해 50%를 점유. - 중국정부가 자국산업 보호에 나서면서, 국내 중소기업의 주요 판매 루트였던 보따리상(타이공) 규제와 위생허가 기준 강화에 나서 중소기업은 수출환경도 악화, -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현지 로컬 제조업체들이 파격적인 대우를 제시하면서 한국 화장품 업계 전문인력 스카우트- 한국인 뿐 아니라 한국 기업의 중국지사에서 근무.. 더보기
삼성메디슨 기사와 상관없이 의료기기주들은 여전히 파란불인가? 1.관련 기사 하나 적어둔다. http://finance.naver.com/item/news_read.nhn?article_id=0000588928&office_id=016&code=043150&page= 2.삼성메디슨은삼성이 의료기기를 포기하는 건지 아니면 다른 얘긴지 구체적으로 모르겠다. 두고 보자. 더보기
국내 5대 정유사 이익 감소 구조조정 등으로 계수는 나아질 전망이지만업황은 밝지 않아. 3년 전 영업이익률 10%를 오가던 정유사들, 지금은 1%안팎.글로벌 수요부진. 정제마진회복안돼. 복합 정제마진은 2년 전의 절반 수준.셰일가스를 무기로 한 미국업계의 공격도 문제. 올들어 약간 오른 건 글로벌 공급이 줄어서. 수요회복이 아님.수출에 불리한 원화 절상까지 가중.이삼 년 전까지 증설경쟁하던 PX사업도 공급과중. 중국대만업체들이 문닫는 가운데 국내업체들도 가동률 줄여.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5/19/2014051902295.html?rihgt_juyonews 이런 대외환경은 어쩔 수 없기에, 그리고 단순 구조조정만으로는 잘 해야 시간을 버는 것에 불과하므로, 과거 PX, .. 더보기
FPCB주 명암: 주문이 제일 늦게 떨어지는 비에이치는 웃고, 인터플렉스는 울고 대장주와 대장주가 아닌 종목은 그런 차이가 있었네요. 네이트:http://news.nate.com/autoCluster/list?clstsq=292433&clstdt=201311&mid=n1403 더보기
삼성엔지니어링 어닝쇼크 이후 건설업계 기사가 늘었다. 이명박때 형님외교니 중동외교니 제2(제삼)의 중동건설이니하면서그룹회장들몰고 중동다녔고 수주기사도 많이 떴다. 대통령 눈치보느라 계약실적먼저 냈던 걸까. 리만사태 이후 국내 부동산시장이 얼어붙어 매출만회 목적으로도 많이 나갔다.기억나는 것 중 하나는 한회회장의 이라크 신도시건인데, 이걸로 구속 유예해달라고 하기도 했었는데 지금 어떻게 됐나 모르겠다. 구속은 됐던 걸로. 여튼 그 여파가 이제 온다고 한다. 당시로부터 3년 정도가 되고 있으니. 오늘도 뉴스가 나오길래 적어본다. 더보기
정몽구/ 유라시아 횡단철도 미리 준비하라/한경 현대로템 - 리노스, 오텍?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090881601 더보기
포스코경영연구소(POSRI)의 에너지저장사업 보고서 링크 https://www.posri.re.kr/report/view/divi/0009002/board_id/2138 더보기
폴리실리콘가격이 반등했다는 뉴스에 OCI급등 그리고 태양광주 일반도. 하반기들어 악재가 속출하면서 아주 내려갔다가, 악재가 더 나옴에도 웬지 12월초에 바닥찍고 슬금슬금 올라오는 차트 모양새였음. 장도 좋고 세계이슈도 하나씩 일단락잡아가는 븐위기라선지 바닥치고 고개드는 것 같았다. 그러다 오늘 이 뉴스에 관련주 관심 중이라고. OCI http://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0060 한화케미칼http://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9830 더보기
미국의 끝없는 유동성의 유혹/전병서/달러화, 위안화, 중국 호황산업 네이버 링크입니다. http://finance.naver.com/research/pro_invest_read.nhn?expert_code=10&nid=766 메모: 미국의 show me the money 공세, 달러화 가치 급락과 달러를 쌓아둔 아시아 국가들의 손실. 그 결과인 위안화의 국제화.중국의 도시화, 1인당 국민소득 5천불시대 중국의 10대 산업, 이와 연계해 잘 나가는 종목이 연상되는 표. 더보기
2013년 KOSPI 순이익 124조원에 대한 변명 /대신증권 http://finance.naver.com/research/invest_read.nhn?nid=6255 더보기
어제 조선주 급등은 1) 유로존 은행이 숨통트이면 선박금융이 트이지 않나 하는 얘기 2) 우리 정부의 조선업 지원 그 둘일까. 하지만 2는 1이 없으면 현상유지용이고 1은 해결된 게 아니기 때문에.. 어떻게 될까? 기대감으로 더 갈까. 메이저는 3사는 이미 플랜트비중이 높긴 하지만, 이걸 킥모터로 해서 갈 지 아니면 다시 잠수할 지.. 더보기
중국의 무역수지를 보면, "대중 수출면에서" 화학과 전기전자는 유리, 기계와 철강금속은 불리하다는 리포트 출처) 토러스투자증권 http://www.taurus.co.kr/customer/download.jsp?seq=3164&fnm=120508_Daily.pdf&fonm=120508_Daily.pdf 요약문 전재) 전통적 소비시장인 미국과 유럽 경기가 부진. 수출 비중이 높은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무역수지도 감소세를 지속. 초점을 중국의 무역수지에. 그 이유는 중국이 한국의 수출에서 24.2%의 비중을 차지하는 최대 수출국이기 때 한국의 대중 수출과 관련있는 중국의 무역수지를 항목별로 구분. 중국의 무역수지를 주요 제조업 항목으로 분해한 결과, 화학과 전기장비에 대한 순수입은 증가 동 산업과 관련된 한국 제품의 대중 수출도 늘어나고 있어, 해당 기업의 매출 성장을 기대. 중국은 철강과 산업장비 분야에서 수요자.. 더보기